결 좋고 단단해 장롱·기계재·M1소총 개머리판 소재로 쓰여
나무타령이 있습니다. ‘십리 절반 오리나무, 십리 두 배 시무나무’ 하면서 재미나는 말과 나무이름을 한 데 갖다 붙이는 것입니다. 이 가운데 ‘오자마자 가래나무’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오늘은 이 가래나무에 대해 말씀드려 보겠습니다.
가래나무와 같이 가래나무과(科)에 드는 형제로는 굴피나무와 호두나무가 있습니다. 가래나무는 우리나라에 저절로 나서 자라는 자생수종입니다. 중부와 북부 지역의 산과 들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생각보다 엄청나게 이름이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알고보면 둘레에 아주 많을 뿐 아니라 사람들 실생활과 이것보다 더 한 게 없을 정도로 밀접하게 관련돼 있는데도 말입니다.
보기를 들겠습니다. 사서삼경 가운데 하나인 <시경>(詩經)을 찾아보면 “부모님이 심은 뽕나무와 가래나무까지도 공경하거늘 하물며 부모님을 공경하지 않을 수 있느냐”는 구절이 나옵니다. 이처럼 옛날에는 무덤가에다 뽕나무와 가래나무를 심었다고 합니다. 뽕나무는 길쌈을 하고 누에를 치기 위해 심었다 치면 되겠는데, 가래나무는 왜일까요? 가래나무가 널이나 장롱 따위 가구를 만드는 데 요긴하게 쓰였기 때문입니다.
가래나무는 목재가 아주 좋습니다. 심재(心材)는 회갈색, 변재(邊材)는 회백색으로 가운데에서 바깥쪽으로 나갈수록 빛깔이 옅어집니다. 고가구는 물론이고 60~70년대 기계와 맞물리게 하던 기계재로도 쓰였습니다. 또 군대 가면 누구나 만졌던 M1 소총 개머리판도 이 가래나무로 만들었고 결이 좋고 단단하기 때문에 나무조각을 하는 데도 많이 씁니다.
언젠가 창덕궁에서 방상시탈이 발견된 적이 있었는데 그것도 가래나무로 만들었습니다. 방상시(方相氏)탈이란 커다란 눈이 네 개가 달린 탈인데 옛날 국장(國葬)이 나면 이 탈을 쓴 사람을 수레에 태워 앞장세웠다고 합니다.
가래나무는 해발 100~1500m에서 자라는 잎지는 큰키나무로 잎이 아까시나무처럼 나는데 잎자루 하나에 작은잎이 7장에서 17장까지 홀수로 달립니다.
한자로는 추자(楸子)라고 하는데 충청도·강원도·경기도 같은 지역에 가면 이 ‘추’자가 들어가는 마을 이름이 아주 많습니다. 충남 홍천군 두촌면에 가면 추평마을이 있습니다. 우리말로는 가래뜰쯤이 되겠는데, 곳에 따라 가래골이라 하는 데도 꽤 됩니다.
마을 우물가에 가래나무가 심겨 있었습니다. 과거 보러 서울 가던 선비가 지나가다가 목이 말라 우물에서 물을 한 바가지 마셨습니다. 그런데 그 길로 머리가 맑아져서 여태까지 공부했던 모든 게 머릿속에 되살아나서 바로 장원급제를 했답니다.
가래나무는 이처럼 한방 약재로도 쓰입니다. 가래나무껍질(楸皮)은 기침을 멎게 하고 머리를 맑게 합니다. 지난해에는 열매가 항암작용을 하고 항균 활성화 기능도 한다는 발표도 있었습니다. 아마 신약 개발도 할 수 있으리라고 봅니다.
열매는요, 길쭉한 호두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른바 견과, 딱딱한 과일인데 호두처럼 깨어서 먹기도 하고 가래알 두 개를 손안에 넣고 주물러 손바닥에 자극을 주는 데도 쓰입니다. 아마 치매가 예방된다고 하지요?
그래서 가래나무는 나무와 열매 두 가지 측면에서 중요한 임산자원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학명(Juglans mandshurica)에 만주라는 땅이름이 들어갈 만큼, 만주 같은 추운 데서도 잘 자라니까 많이많이 심으면 좋겠습니다.
최송현(37·밀양대학교 조경학과 조교수·학교숲 가꾸기운동 경남팀장)
******************
[토막상식]굴피나무
정리/김훤주 기자 /
나무타령이 있습니다. ‘십리 절반 오리나무, 십리 두 배 시무나무’ 하면서 재미나는 말과 나무이름을 한 데 갖다 붙이는 것입니다. 이 가운데 ‘오자마자 가래나무’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오늘은 이 가래나무에 대해 말씀드려 보겠습니다.
가래나무와 같이 가래나무과(科)에 드는 형제로는 굴피나무와 호두나무가 있습니다. 가래나무는 우리나라에 저절로 나서 자라는 자생수종입니다. 중부와 북부 지역의 산과 들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생각보다 엄청나게 이름이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알고보면 둘레에 아주 많을 뿐 아니라 사람들 실생활과 이것보다 더 한 게 없을 정도로 밀접하게 관련돼 있는데도 말입니다.
보기를 들겠습니다. 사서삼경 가운데 하나인 <시경>(詩經)을 찾아보면 “부모님이 심은 뽕나무와 가래나무까지도 공경하거늘 하물며 부모님을 공경하지 않을 수 있느냐”는 구절이 나옵니다. 이처럼 옛날에는 무덤가에다 뽕나무와 가래나무를 심었다고 합니다. 뽕나무는 길쌈을 하고 누에를 치기 위해 심었다 치면 되겠는데, 가래나무는 왜일까요? 가래나무가 널이나 장롱 따위 가구를 만드는 데 요긴하게 쓰였기 때문입니다.
가래나무는 목재가 아주 좋습니다. 심재(心材)는 회갈색, 변재(邊材)는 회백색으로 가운데에서 바깥쪽으로 나갈수록 빛깔이 옅어집니다. 고가구는 물론이고 60~70년대 기계와 맞물리게 하던 기계재로도 쓰였습니다. 또 군대 가면 누구나 만졌던 M1 소총 개머리판도 이 가래나무로 만들었고 결이 좋고 단단하기 때문에 나무조각을 하는 데도 많이 씁니다.
언젠가 창덕궁에서 방상시탈이 발견된 적이 있었는데 그것도 가래나무로 만들었습니다. 방상시(方相氏)탈이란 커다란 눈이 네 개가 달린 탈인데 옛날 국장(國葬)이 나면 이 탈을 쓴 사람을 수레에 태워 앞장세웠다고 합니다.
가래나무는 해발 100~1500m에서 자라는 잎지는 큰키나무로 잎이 아까시나무처럼 나는데 잎자루 하나에 작은잎이 7장에서 17장까지 홀수로 달립니다.
한자로는 추자(楸子)라고 하는데 충청도·강원도·경기도 같은 지역에 가면 이 ‘추’자가 들어가는 마을 이름이 아주 많습니다. 충남 홍천군 두촌면에 가면 추평마을이 있습니다. 우리말로는 가래뜰쯤이 되겠는데, 곳에 따라 가래골이라 하는 데도 꽤 됩니다.
마을 우물가에 가래나무가 심겨 있었습니다. 과거 보러 서울 가던 선비가 지나가다가 목이 말라 우물에서 물을 한 바가지 마셨습니다. 그런데 그 길로 머리가 맑아져서 여태까지 공부했던 모든 게 머릿속에 되살아나서 바로 장원급제를 했답니다.
가래나무는 이처럼 한방 약재로도 쓰입니다. 가래나무껍질(楸皮)은 기침을 멎게 하고 머리를 맑게 합니다. 지난해에는 열매가 항암작용을 하고 항균 활성화 기능도 한다는 발표도 있었습니다. 아마 신약 개발도 할 수 있으리라고 봅니다.
열매는요, 길쭉한 호두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른바 견과, 딱딱한 과일인데 호두처럼 깨어서 먹기도 하고 가래알 두 개를 손안에 넣고 주물러 손바닥에 자극을 주는 데도 쓰입니다. 아마 치매가 예방된다고 하지요?
그래서 가래나무는 나무와 열매 두 가지 측면에서 중요한 임산자원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학명(Juglans mandshurica)에 만주라는 땅이름이 들어갈 만큼, 만주 같은 추운 데서도 잘 자라니까 많이많이 심으면 좋겠습니다.
최송현(37·밀양대학교 조경학과 조교수·학교숲 가꾸기운동 경남팀장)
******************
[토막상식]굴피나무
정리/김훤주 기자 /
pole@dominilbo.com
굴참나무와 달리 껍질 벗기면 못 자라
굴피나무는 가래나무의 형제들 가운데 유일하게 ‘돈 안되는’ 나무입니다. 남부 지역에서도 심심찮게 볼 수 있는데요, 아까시나무처럼 깃털 같이 생긴 작은잎이 7장에서 19장까지 달립니다.
열매는 크기가 5mm 안팎으로 작은 솔방울처럼 생겼는데 먹을 수는 없습니다. 열매 끝부분이 바늘처럼 날카롭고 딱딱해서 아이들이 많이 던지고 맞추고 하면서 놀기에 딱 알맞습니다. 옛날 같으면 여자아이들이 장난삼아 머리빗질하면서 소꿉놀이를 하기도 했습니다.
강원도에 있는 굴피집은 이 굴피나무와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 참나무류에 들어가는 굴참나무 껍질이 굴피집의 재료입니다. 굴참나무는 껍질을 벗겨도 다시 코르크층 형성이 곧바로 이뤄집니다. 반면 굴피나무는 껍질이 두껍기는 하지만 벗겨내면 제대로 자라지 못합니다.
이처럼 별 쓰임새가 없어서 크게 반김을 받지는 못하는데 가죽나무처럼 생겨서 산가죽나무라고도 하고 향기랑 관계가 있는지 화향수(花香樹)라거나 굴향피나무라는 이름도 갖고 있습니다.
밀양 얼음골에 가면 한아름은 되고도 남는 굴피나무들이 무리 지어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중국·일본에서 모두 잘 자라는데 중국굴피나무는 한국 굴피나무와 잎자루가 다르다고 합니다. 보통 굴피나무는 가래나무와 마찬가지로 잎자루가 아까시나무처럼 생겼는데, 중국굴피나무는 작은잎과 작은잎 사이에 마치 날다람쥐의 그것처럼 날개가 달려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