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ustangs at Las Colinas
5205 N. O’Connor Drive Irving, TX
그림 1. 텍사스 어빙 윌리엄스 광장의 무스탕
그림 2. 텍사스 어빙 윌리엄스 광장의 무스탕
미국의 젊은이들이 갖고 싶어하는 대중적인 스포츠카로 무스탕이라는 차가 있다. 미국 포드사가 1960년대부터 지금까지 생산하고 있는 스테디셀러라고 할 수 있는데, 시대의 변천에 따라 젊은이들과 공감할 수 있는 디자인으로 꾸준히 진화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차의 전면에는 힘차게 질주하는 말모양의 로고가 선명한데 이 말이 무스탕이다.
언뜻 보기에는 야생말로 보이는 무스탕은 사실 스페인에서 북미로 유입되어 서부에 분포하는 야생화된 말로 보는 것이 타당할 듯싶다. 광활한 대륙에서 훌륭한 교통수단이었던 무스탕은 식민지 개척자, 아메리카원주민 등 여러 주체에게 사랑을 받았고, 또 도망가거나 버려지나 여러가지 이유로 자유의 몸이 되어 대륙을 맘놓고 뛰어 노는 존재가 된 것이다. 힘, 속도, 지구력 등 상징성이 커서 자동차뿐만 아니라 비행기에도 명칭이 붙여져 2차세계대전과 한국전에서 사용된 바 있다. 이런 무스탕이 카우보이의 고장 텍사스 어빙 라스 콜리나스(Las Colinas)에 위치한 윌리엄스 광장을 힘차게 질주하고 있다.
로버트 글렌(Robert Glen)은 1940년생으로 아프리카 케냐 나이로비출신이다. 태어나고 자라온 환경의 영향으로 어려서부터 자연과 예술에 관심이 많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동물에 대한 관심이 남달랐다고 한다. 현재 그를 대표하는 대부분의 작품들은 살아있어 역동성이 넘치는 동물들을 조각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의 작품중 가장 성공하고 대중적인 작품이 바로 윌리엄스 광장의 무스탕이며 이 작품은 세계에게 가장 큰 말조각상으로 알려져 있다.
이 작품은 1976년에 기획되었으며, 1984년에 준공되었다. 설계는 SWA 그룹이 맡았는데, 중정의 형태를 띤 건물 중앙의 윌리엄스 광장을 완만한 경사를 가진 화강암으로 포장하고 북동쪽에서부터 남서쪽을 가로지르는 길이 130m의 얕은 물길을 만들었으며, 이를 무스탕이 역동적으로 달리는 모습을 구현하였다.
이 조각상은 텍사스지역에 많이 서식하고 야생의 무스탕을 기념하고 있는데, 실제 무스탕의 크기보다 1.5배 크게 제작하였으며, 말들이 물길을 뛰어 가로지르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무스탕이 역동적으로 달리는 모습을 구현하기 위해 말발굽 부분에 분수를 도입하여 말이 뛰는 분위기를 연출한 것이 특징이다. 추후 ASLA로부터 National Honor Award를 수상하였다.
무스탕을 감상하기 위해 윌리엄스 광장을 찾아가는 길이 쉽지는 않았고, 주변의 특별한 볼거리가 없었지만 이것만을 보기 위해 불원천리를 마다하지 않아도 후회는 없는 그런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신축건물 조성비의 1%를 환경조각비용으로 의무적으로 책정하여 공공이 배제되고 브러커가 살찌는 우리의 현실에서는 예술가, 건축가, 조경가 그 누구도 승자가 될 수 없다. 그런 측면에서 조경과 공공미술의 협업이 만들어낸 대작 Mustangs at Las Colinas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로버트 글렌은 현재도 탄자니아의 Ruaha National Park에서 기거하며 여전히 작품활동중이라고 한다. 그의 전 생애가 담긴 그의 작품들을 보노라니 진정성이 느껴진다.
그림 3. 보수 공사관계로 물을 빼내 모습.
그림 4. 하천의 물살을 역동적으로 튀기며 달리는 모습을 구현하기 위한 분수 장치.
ⓒ최송현(부산대학교 조경학과)
■ 참고
Wikipedia “Mustangs at Las Colinas”
http://www.robertglenbronzes.com/
http://www.robertglen.com/biography.html
'Texas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Pioneer Plaza (0) | 2015.03.04 |
---|---|
Fountain Place in Dallas (0) | 2015.02.23 |
Fort Worth Water Gardens (0) | 2015.01.28 |
Water Wall (0) | 2015.01.28 |
텍사스 라이프 _ 정착 (0) | 2014.11.01 |